목장교재

  • 말씀및찬양 >
  • 목장교재
2025년 8월 넷째주 목장교재 입니다. "어떻게 우리가 저주를 극복할 수 있는가요? 사무엘하 16장 5~13절
조영식 2025-08-24 추천 0 댓글 0 조회 381

어떻게 우리가 저주를 극복할 수 있는가요?

사무엘하 16장 5-13절 / 너희 마음에 슬픔이 가득할 때(458)  


5.다윗 왕이 바후림에 이르매 거기서 사울의 친족 한 사람이 나오니 게라의 아들이요 이름은 시므이라 그가 나오면서 계속하여 저주하고/ 6.또 다윗과 다윗 왕의 모든 신하들을 향하여 돌을 던지니 그 때에 모든 백성과 용사들은 다 왕의 좌우에 있었더라/ 7.시므이가 저주하는 가운데 이와 같이 말하니라 피를 흘린 자여 사악한 자여 가거라 가거라/ 8.사울의 족속의 모든 피를 여호와께서 네게로 돌리셨도다 그를 이어서 네가 왕이 되었으나 여호와께서 나라를 네 아들 압살롬의 손에 넘기셨도다 보라 너는 피를 흘린 자이므로 화를 자초하였느니라 하는지라/ 9.스루야의 아들 아비새가 왕께 여짜오되 이 죽은 개가 어찌 내 주 왕을 저주하리이까 청하건대 내가 건너가서 그의 머리를 베게 하소서 하니/ 10.왕이 이르되 스루야의 아들들아 내가 너희와 무슨 상관이 있느냐 그가 저주하는 것은 여호와께서 그에게 다윗을 저주하라 하심이니 네가 어찌 그리하였느냐 할 자가 누구겠느냐 하고/ 11.또 다윗이 아비새와 모든 신하들에게 이르되 내 몸에서 난 아들도 내 생명을 해하려 하거든 하물며 이 베냐민 사람이랴 여호와께서 그에게 명령하신 것이니 그가 저주하게 버려두라/ 12.혹시 여호와께서 나의 원통함을 감찰하시리니 오늘 그 저주 때문에 여호와께서 선으로 내게 갚아 주시리라 하고/ 13.다윗과 그의 추종자들이 길을 갈 때에 시므이는 산비탈로 따라가면서 저주하고 그를 향하여 돌을 던지며 먼지를 날리더라/


0. 들어가는 글

오늘은 8월 네 번째 주일입니다. 오늘 본문에서 저주라는 단어가 몇 번 나옵니까? 일곱 번 나옵니다. 그리고 그 저주를 누가 받고 있습니까? 다윗 왕이 받습니다. 그의 아들 압살롬이 사람들의 마음을 훔쳐서 반역한 후에 세력이 점점 더 커지자 예루살렘 성을 떠나 도피하게 되었습니다(삼하15:6). 그리고 다윗이 도피하는 길에 시므이가 따라오며 계속 저주했습니다(5). 오늘 말씀을 통하여 다윗이 억울한 저주를 받을 때 어떻게 반응했는지를 깨닫고 우리의 삶에 적용할 수 있기를 소망합니다.

 

1. 시므이가 다윗을 저주하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시므이가 진실을 외면하고 자신의 감정에만 사로잡혔기 때문입니다. 그는 자신의 지파였던 사울이 이스라엘의 왕이 되었을 때 너무 기뻤고, 베냐민 지파에서 계속 이스라엘 왕이 되기를 원했습니다. 그러나 사울 왕과 그의 아들 요나단이 죽은 후에 유다 지파의 다윗이 이스라엘의 왕이 되었습니다. 시므이는 베냐민 지파의 사울 왕이 망한 것을 다윗의 탓으로 돌리면서 분노의 감정에 사로잡혔습니다. 그래서 시므이가 다윗에게 저주하는 가운데 피를 흘린 자여 사악한 자여 가거라 가거라고 합니다(7). 그는 사울 왕의 피를 흘려 죽인 사람이 다윗이라고 생각하며 저주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사울 왕의 죽음에 대해 팩트 체크를 해야 합니다. 다윗은 사울을 죽이지 않았고 오히려 두 번이나 살려주었습니다. 실제로 사울이 죽은 이유는 블레셋과 전쟁 중에서 부상을 입고 자결했기 때문입니다(삼상31:4). 그러나 시므이가 진실에는 눈을 감고 왕권을 빼앗겼다는 분노에 사로잡혀 다윗을 저주했습니다. 오늘날도 세상은 진실을 외면하고 서로를 저주하며 다투는 경우가 너무 많습니다. 우리는 하나님 앞에서 진실을 파악하고 저주하는 인생이 아니라 축복하는 인생이 되기를 소망합니다.

 

2. 시므이가 다윗을 저주할 때 어떤 방법을 사용하고 있습니까?

시므이는 하나님의 이름을 가져다가 다윗을 저주하는 일에 사용했습니다. 사울의 족속의 모든 피를 여호와께서 네게로 돌리셨도다 그를 이어서 네가 왕이 되었으나 여호와께서 나라를 네 아들 압살롬의 손에 넘기셨도다고 합니다(8). 이처럼 시므이는 개인적인 감정으로 다윗을 저주하면서 하나님의 뜻처럼 포장했습니다. 우리가 신앙생활에서 가장 무서운 죄악은 자신의 감정을 하나님의 뜻처럼 포장하여 악용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시므이는 현재 다윗이 겪는 위기를 자신의 감정으로 판단하여 하나님의 심판처럼 왜곡까지 하고 있습니다.

 

다윗 왕이 압살롬의 반란을 진압하고 다시 예루살렘으로 돌아올 때 시므이가 어떻게 반응합니까? 그는 왕께 아뢰되 내 주여 원하건대 내게 죄를 돌리지 마옵소서 내 주 왕께서 예루살렘에서 나오시던 날에 종의 패역한 일을 기억하지 마옵소서라고 합니다(삼하19:19). 시므이가 하나님의 이름으로 저주했던 다윗에게 자신을 살려달라면서 애원합니다. 그러면 그가 다윗에게 하나님의 심판이라고 저주했던 일은 신성모독이 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사도 바울은 하나님의 말씀과 자신의 생각을 구별하여 전했습니다(고전7:26). 오늘날도 우리의 감정으로 주님의 이름을 악용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관점에서 바라보며 주님의 뜻을 올바르게 분별할 수 있기를 소망합니다.

 

3. 다윗이 저주를 받으면서도 시므이를 죽이지 않았던 이유가 무엇입니까?

다윗 왕이 시므이에게 저주받는 것도 하나님의 뜻으로 받아들였기 때문입니다. 다윗은 그가 저주하는 것은 여호와께서 그에게 다윗을 저주하라 하심이니라고 합니다(10). 그러면 그가 저주받는 것을 하나님의 뜻으로 받아들인 증거가 무엇인가요? 다윗 왕이 자신의 힘을 조절하여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아비새가 왕께 여짜오되 이 죽은 개가 어찌 내 주 왕을 저주하리이까 청하건대 내가 건너가서 그의 머리를 베게 하소서라고 합니다(9). 여기서 다윗 왕의 말 한마디면 더 이상 저주의 소리를 듣지 않도록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다윗이 저주를 받으면서도 자신의 힘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그는 자신의 뜻대로가 아니라 주님의 뜻대로 사용하려고 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사울은 주님의 뜻대로가 아니라 자신의 뜻대로 사용했습니다. 이것이 다윗 왕과 사울 왕의 가장 큰 차이점입니다. 그래서 사울은 어떤 사정인지도 모르고 다윗에게 도움을 준 아히멜렉 제사장뿐만 아니라 아무 관련도 없는 85명의 제사장들도 죽였습니다(삼상22:18). 성도들의 힘이 크든 작든 주님의 뜻대로 조절하여 쓰임을 받아야 합니다. 오늘날 우리에게 작은 힘이라도 있다면 주님의 뜻대로 조절하여 생명을 살리는 일에 쓰임 받기를 소망합니다.

 

4. 다윗이 시므이의 저주를 극복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입니까?

다윗은 사람의 저주를 하나님께서 선으로 갚아주실 것을 믿었기 때문입니다. 다윗은 혹시 여호와께서 나의 원통함을 감찰하시리니 오늘 그 저주 때문에 여호와께서 선으로 내게 갚아 주시리라고 합니다(12). 다윗이 사람의 저주를 주님께서 선으로 갚아주실 것을 믿은 증거가 무엇인가요? 그가 시므이의 계속되는 저주에도 반응하지 않고 오직 주님을 바라보면서 묵묵히 길을 걸어갔기 때문입니다(13). 다윗은 시므이의 저주하는 말에 흔들리지 않고 묵묵히 길을 걸어간 이유가 사람의 말이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이 미래를 결정한다고 믿었기 때문입니다. 오늘날에도 우리는 사람의 말이 아니라 오직 주님의 말씀이 자신의 미래를 결정한다는 것을 믿을 수 있기를 소망합니다.

 

오늘 본문에서 다윗이 사람의 저주를 계속 받으면서도 가는 길을 멈추지 않고 묵묵히 걸어갔던 모습이 저에게 큰 울림을 주었습니다(13). 또한 예수님도 모든 사람에게 조롱과 저주를 받았지만 십자가의 길을 멈추지 않고 묵묵히 걸어가서 우리의 구원을 다 이루신 것과 겹치면서 큰 감동이 밀려왔습니다. 저도 개척 목회의 길을 걸어가면서 사람의 말에 흔들리지 않고 묵묵히 복음을 전하는 길로 나아가고 있는지를 돌아보게 되었습니다. 오늘날도 성도들이 사람의 말에 상처받고 흔들리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사람의 말에 온도가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따뜻한 말 한마디가 생명을 살릴 수도 있고, 차가운 말 한마디가 생명을 죽일 수도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의 말이 아니라 오직 주님의 말씀이 우리의 미래를 결정한다는 것을 믿고 본향을 향하여 묵묵히 걸어갈 수 있기를 소망합니다.

 

□ 말씀 다지기 (함께 되새김질 하는 시간입니다.) 

1. 시므이가 분노에 사로잡혀서 다윗을 저주했던 이유가 무엇인가요?(7)

 

2. 시므이가 다윗을 저주할 때 어떤 방법을 사용했나요?(8)

 

3. 다윗이 저주를 받으면서도 자신의 힘을 사용하지 않았던 이유가 무엇인가요?

   (10,11)

 

4. 다윗이 시므이의 저주를 극복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인가요?(12)

 

□ 말씀 적용하기 (서로 삶을 나누는 시간입니다.)​​ ​ 

1. 우리가 최근에 들었던 사람의 말들 중에 가장 아프게 했던 말은 무엇이 

   있나요?

 

2. 우리가 가진 힘을 사용하지 않고 주님의 뜻으로 받아들였던 경험은 무엇이 

   있나요?

 

3. 우리가 사람의 저주를 받아도 주님이 선으로 갚아주심을 믿었던 경험은 

   무엇이 있나요?

 

4. 우리가 사람의 말보다 주님의 말씀을 붙잡고 고난을 극복했던 경험은 

   무엇이 있나요?

 

□ 기도하기 

사랑의 주님우리는 하나님 앞에서 진실을 파악하고 저주하는 인생이 아니라 축복하는 인생이 되고자신의 감정으로 주님의 이름을 악용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관점에서 바라보며 주님이 뜻을 올바르게 분별하게 하소서우리에게 작은 힘이라도 있다면 주님의 뜻대로 조절하여 생명을 살리는 일에 쓰임 받고사람의 말이 아니라 오직 주님의 말씀이 우리의 미래를 결정한다는 것을 믿고 본향을 향하여 묵묵히 걸어가게 하소서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자유게시판 목록
구분 제목 작성자 등록일 추천 조회
이전글 2025년 8월 다섯째주 목장교재 입니다. "어떻게 우리가 산 소망을 가질 수 있나요? 베드로전서 1장 3~7절 사진 조영식 2025.08.31 0 382
다음글 2025년 8월 셋째주 목장교재 입니다. "이웃을 세워주는 받침대로 쓰임받고 있나요? 골로새서 2장 1~7절 사진 조영식 2025.08.17 0 385

415809 경기 김포시 승가로 87-51 TEL : 031-985-4941 지도보기

Copyright © 김포한신교회. All Rights reserved. MADE BY ONMAM.COM

  • Today44
  • Total231,700
  • rss
  • 모바일웹지원